
진단 지연으로 인한 암 환자
분쟁 사례 및 진료 시 주의점
암 진단 지연은 곧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암은 조기 발견 시 완치 가능성이 크게 높아집니다. 하지만 진단이 지연되면 치료 기회를 잃고, 질병은 진행되며, 환자의 생존율이 떨어집니다. 그 과정에서 의사와 병원이 법적 책임을 지게 되는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최근 의료분쟁조정 사례를 보면 폐암, 대장암 등 주요 암에서 “진단 지연”을 둘러싼 갈등이 빈번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실제 분쟁에서 자주 나타나는 사례 유형
- 사례 A – 폐암 진단 지연
- 70대 환자가 정기검진과 CT를 받았으나 판독에서 “이상 없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후 가슴 통증으로 다른 병원에 내원했을 때는 이미 폐암 4기였습니다. 과거 영상에 이상 소견이 있었음에도 추가 조치가 없었던 점이 문제 되었고, 판독 의사의 과실이 인정되었습니다.
- 사례 B – 대장암 오진·진단 지연
응급실 CT에서 대장암 의심 소견이 있었으나 대장내시경 권유 없이 퇴원시킨 사례입니다. 약 10개월 뒤 말기 대장암이 발견되어 환자는 사망했고, 초기 검사 판독과 권유 소견의 미흡이 핵심 증거로 지목되었습니다.
이 두 사례는 공통적으로 “초기 의심 소견을 놓쳤다”는 점에서 책임이 인정된 것입니다.

법적 쟁점은 주의 의무와 기록 관리입니다
진단 지연 사례에서 분쟁의 핵심은 네 가지로 요약됩니다.
- 주의 의무: 환자의 증상과 검사 소견을 근거로 위험을 예견할 수 있었는가?
- 영상 판독 책임: 의심 소견을 보고했는지, 정밀 검사 권유를 했는지, 기록이 남아 있는지?
- 설명 및 추적 관리: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추후 검사·내원 권유를 했는지?
- 인과관계: 진단 지연이 환자의 치료 결과나 생존율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는지?
이 쟁점에서 불리해지는 가장 큰 원인은 “기록의 부재”입니다.
의사가 실무에서 취해야 할 예방 전략
- 증상·영상 소견·병력을 종합하여 의심될 경우 정밀 검사나 전문의 의뢰를 한다.
- 판독 시 “의심 소견 있음” “추가 검사 권유” 등을 문서로 명확히 남긴다.
- 환자에게 검사 결과와 향후 추적 필요성을 설명하고, 설명 기록을 보존한다.
- 일정 주기로 증상 변화 여부 확인 및 비교 영상 확보를 습관화한다.
- 의료 분쟁에 대비해 영상판독 보고서·검사 지시서·설명 기록 등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자주 묻는 질문
- Q1. 진단 지연은 무조건 과실인가요?
→ 아닙니다. 의학적 일반 수준에서 주의 의무를 다했는지가 기준입니다.
- Q2. 환자가 증상을 말하지 않거나 검사를 거부했을 때도 책임이 있나요?
→ 환자의 협조 여부도 고려됩니다. 다만 환자가 분명히 증상을 호소했는데 무시한 경우 책임이 따릅니다.
- Q3. 판독 오류는 어떻게 평가되나요?
→ 영상의 질, 전문의 여부, 과거 검사와의 비교 여부가 평가됩니다. 의심 소견을 놓친 경우 책임 인정 가능성이 높습니다.
- Q4. 병원 차원에서 리스크를 줄일 방법은 무엇인가요?
→ 2중 판독 시스템, 검사 결과 알림 프로세스, 검사 지시·통보 절차 매뉴얼화, 직원 교육이 필요합니다.
‘진단 지연은 기록에서 시작된다’는 점입니다
진단 지연은 단순히 한 번의 검사 누락이 아니라, 환자 설명·추적·기록 관리라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발생합니다. 오늘 놓친 작은 의심이 내일은 큰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단 지연 리스크를 줄이려면, 매 순간 환자와의 소통과 기록을 남기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